'한국적 다문화주의' 패러다임 모색 포럼 열려
한경구 교수, 다문화가정 자녀의 군 복무와 관련해 일반의 '국제이해교육' 필요
지난 4월 군의장교 임관식부터 “대한민국의 군인으로서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충성을 다하고…”로 시작하는 임관선서 중 ‘민족’이란 단어가 ‘국민’으로 대체됐다.
당시 국방부 관계자는 "이제 군도 다문화사회를 받아들이는 데 대해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했다"며 선서의 수정 배경을 설명했다.
이렇듯 다문화사회와 관련된 문제는 국방이라는 안보문제를 비롯해 사회 전분야에서 논의를 피할 수 없는 우리사회의 문제로 다가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회 다문화가족정책연구포럼 대표의원인 김혜성(미래희망연대) 의원은 31일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한국적 다문화주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제하 포럼을 열고, “다문화주의의 사회적 합의라는 무형적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상누각”이라며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방향성에 대한 해답을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한 문제임을 밝혔다.
|
이날 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선 한경구(서울대) 교수는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이주민 교육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한국인 일반에 대한 국제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한 교수는 최근 국방부가 장교 임관선서와 병사 입대선서에서 ‘민족’이란 단어를 ‘국민’으로 대체한 것을 예로 들면서 ‘국제이해교육’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중요한 것은 이민자 자녀의 본격적인 징집에 앞서 잠재적으로 가해자가 될 수 있는 군 장병 일반에 대한 인권, 문화 간 이해 등 국제이해교육을 통해 이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을 먼저 조성하는 것이다. 이는 군의 사고 예방은 물론 한국 사회 전체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한 교수는 “군 복무와 관련해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무사히 군 생활을 마치기 위해 정말 중요하고 시급한 것은 군 장병 일반에 대한 교육”이라며 “아무리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에게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 교육을 열심히 한다고 하더라도 국민 대다수가 편견과 자민족중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카롤린 메델 아노누에보(유네스코 평생학습연구소) 부소장과 윤인진(고려대) 교수가 각각 ‘유네스코 문화다양성과 교육에의 함의’,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과제’를 주제로 발제했다.
메델 아노누에보 부소장은 “세계 각지에, 학교와 기타 학습공간들의 활용을 통해 문화다양성을 증진하고 그에 적합한 행동양식을 개발해, 문화다양성 개념이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및 사람들 간의 협력의 심화로 이어지게끔 한 사례들이 존재한다”며 “차이를 수용하면서 공생하는 공동체들의 이야기가 공유되어야 하며, 관련된 성공사례와 실패사례의 교훈 또한 수집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윤 교수는 한국에서의 다문화사회 쟁점과 과제를 제시했다.
|
한편, 이날 포럼에는 이인제, 정영희, 이영애, 정하균, 박선영 의원 등이 참석해 관심을 나타냈다.(konas)
코나스 강치구 기자
- 관련기사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