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뉴스 글씨확대글씨축소스크랩

美 합참부의장 "北 미사일 위협이 美 미사일 방어의 최우선 과제"

월스트리트저널, 美 국방부 ‘THAAD’ 배치 가능한 부지 조사

Written by. 강치구   입력 : 2014-05-29 오전 9:37:03
공유:
twitter facebook
소셜댓글 : 0

 미국 미사일 방어체제 구축의 최우선 과제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라고 제임스 윈필드 美 합참부의장이 밝혔다. 또한, 美 국방부는 미사일 방어의 핵심인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의 한국 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미국의 소리(VOA)방송은 제임스 윈필드 美 합참부의장이 28일(현지시간) 워싱턴의 민간 연구기관인 대서양위원회에서 열린 미사일 방어 관련 토론회에서 이 같이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미국 미사일 방어의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이날 윈필드 부의장은 “북한이 아직 美 본토에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과 이란의 어떤 도발도 미국의 강력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윈필드 부의장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국, 일본, 호주 등 동맹국들과의 공조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방송은 이어 미국 정부 당국자들은 북한의 도발 뿐만 아니라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대한 억지 차원에서도 미국과 한국, 일본 세 나라의 공조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문제와 관련, 윈필드 부의장은 이달 말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제13차 아시아안보회의, 샹그릴라 대화에서 한‧미‧일 세 나라가 진전을 이루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방송은 28일자 美 월스트리트저널을 인용,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위협과 관련해 한국에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를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 국방부 관리들을 인용해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았지만  미국이 THAAD 배치가 가능한 한국 내 부지들을 조사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해 북한의 도발 위협이 높아지면서 괌에 THAAD를 배치한 바 있다.

 THAAD는 탄도미사일을 40-150 km의 높은 상공에서 요격할 수 있는 미사일 방어망의 핵심으로, 한국에 배치될 경우 한국 뿐아니라 일본과 미국 등 방어 지역을 크게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미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THAAD 배치가 중국을 자극하고 한반도 평화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과, 요격 시간 확보 차원에서 THAAD를 배치해 다층 방어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Konas)

코나스 강치구 기자

안보가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
관련기사보기
facebook twitter 책갈피저장 메일보내기
소셜댓글
로그인선택하기 트위터 페이스복
원하는 계정으로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여 주십시요.
입력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
1
로그인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