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오동‧청산리‧대전자령 전투, 자주독립 역량 입증한 대첩
한국독립유공자협회, 한국 독립군 3대 대첩 기념행사 가져
한국독립군의 중국 동북지역 3대 대첩인 봉오동·청산리·대전자령 대첩 기념행사가 21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2층 대강당에서 한국독립유공자협회(회장 승병일) 주관으로 열렸다.
박유철 광복회장을 비롯한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 광복회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는 기념식에 이어 ‘한국독립군 봉오동․청산리․대전자령 전투의 승전과 역사적 의의’를 주제로 김용달 박사(전 한국근현대사학회장)의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
승병일 회장은 기념사에서 “수많은 독립선열들은 대한민국의 주권회복을 위해 목숨을 초개와 같이 버리고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했다”며 “특히 오늘 우리가 기념하는 한국독립군의 봉오동, 청산리, 대전자령 전투는 독립전쟁사의 기념비적 전투이자 우리민족의 자주독립역량을 입증한 대첩이었다”고 강조했다.
|
이경근 서울지방보훈청장은 축사에서 “한국독립군의 주요 승전을 기념하는 오늘 이 자리가 선열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마음에 새기고 국민통합과 통일에 대한 새로운 결의를 가지는 뜻깊은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념식에 이어 진행된 강연회에서 김용달 박사는 “봉오동, 청산리 대첩을 겪으면서 독립운동은 전쟁노선이 주류를 이루었고 ‘절대독립’ 이념이 독립운동의 중심사상으로 자리잡았으며 독립전쟁노선의 실천이 독립운동의 최고가치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김박사는 이어 대전자령 전투 또한 봉오동, 청산리 대첩이후 실천해 온 독립전쟁전략과 만주에서 전개한 무장투쟁의 연장선에서 벌어진 것이었으며 병력이나 화력은 일본군에 비교할 수 없이 열악했지만 만주 곳곳에서 중국군과 연합작전을 통해 이룩한 1930년대 최대 항일무장투쟁의 가시적 성과라고 지적했다.
홍범도와 최진동 등이 1920년 6월 일본군 157명을 사살하고 300여명에게 부상을 입힌 독립전쟁사의 기념비적 전투인 봉오동 전투, 같은 해 10월 청산리에서 김좌진이 이끈 독립군이 일본군 1개 여단을 괴멸시킨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그리고 1933년 7월 한중 연합작전으로 지청천 장군 등이 일본군 1개 연대를 초토화한 대전자령 전투는 국권 상실 후 동북 3성으로 이주한 민족 지도자와 의병 등으로 구성된 한국 독립군이 일본군에 맞서 크게 승리한 독립전쟁이다.(konas)
코나스 황은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