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북한 말 곧이곧대로 안 믿어…구체적 비핵화 조치 필요”
"비핵화 향한 북한의 구체적인 행동들 볼 때까지 최대 압박 캠페인을 계속할 것"
미국은 북한 비핵화 문제를 과거처럼 순진하게 접근하고 있지 않다며, 제재 완화를 위해서는 북한이 비핵화를 향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새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23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핵. 미사일 실험 중지 발표가 사실상 핵 무력 완성을 선언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미국은 전임 행정부들과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것이며, 북한의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북한의 구체적 행동을 볼 때까지 최대 압박 캠페인은 계속될 것이며, 미국은 이 과정에 순진하게 접근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말 뿐만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북한으로부터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조치를 봤지만 아직 먼 길을 가야 한다고 말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과거와 달리 큰 변화가 있었다며 역내 동맹국들과 파트너 국가들이 과거보다 더 많은 행동에 나서고 있고, 중국 역시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 데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해 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은 더욱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미국은 중국이 그렇게 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하면서 중국이 미국과 협조하는 방향으로 나선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쌓은 관계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샌더스 대변인은 북한의 비핵화 이전에 제재를 완화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미국의 목표는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면서, 미국은 완전하고 전면적인 비핵화를 향한 북한의 구체적인 행동들을 볼 때까지 최대 압박 캠페인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비핵화에 동의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날 트위터 발언에 대한 논평 요청에,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의지를 밝혔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상기시키며, 미국이 북한과 가질 어떤 대화나 협상은 이 부분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결실이 없으면 회담장을 떠날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을 북한이 신뢰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에 트럼프 대통령은 나쁜 합의는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해왔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익은 물론 전 세계에 최선인 것을 원한다며 북한과 한반도의 비핵화는 모두에게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앞서 샌더스 대변인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최종 목표는 비핵화이고 북한이 진전으로 느껴지는 단계들을 벌써 밟아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최대 압박 캠페인을 계속할 것이고, 비핵화를 향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조치를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가질 협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샌더스 대변인은 북한의 핵.미사일 추가 시험 중단과 핵시험장 폐기 발표와 관련해, 하나의 조치인 것은 맞지만 제재 완화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이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0일 개최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추가 핵 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를 중단하며 북부핵시험장을 폐기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샌더스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완전한 비핵화가 어떤 것이냐는 질문에, 이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바라는 것과 같다며 북한이 핵미사일을 보유하지 않고 실험하지 않는 것이라고 답했다.(konas)
코나스 이숙경 기자
- 관련기사보기
-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