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대화에 진전 없으면 미-한 연합 군사훈련 재개”
“트럼프 첫 임기 끝나기 전 중대한 비핵화 달성 기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북한 비핵화 관련)트럼프 대통령이 생산적이고 선의의 협상이 진행되면 훈련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명확히 했으며, 그렇지 않다고 결론이 나는 상황이 온다면 연합 훈련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약속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말했다.
13일 한국을 방문한 폼페이오 장관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한 연합 군사훈련 중단 결정 과정을 묻는 질문에 이 논의에 자신도 참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가 끝나기 전에 북한의 중대한 비핵화(major disarmament) 성과를 달성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은 이를 실시할 준비가 된 큰 규모의 관련 부서들이 있고 수개월 동안 작업을 해왔으며, 미국인들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온 파트너들도 포함돼 있다며, 미국은 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소에 직접 갈 수 있는 상황이 되면 이를 실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이)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결과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라고 했으면서 왜 미-북 공동성명에 담기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이 내용은 성명에 담겨 있다며 질문이 틀렸다고 답했다.
‘완전한’이라는 표현에는 ‘검증 가능한’과 ‘되돌릴 수 없는’이라는 뜻이 포함돼 있다며, 의미론적인 논쟁을 할 수 있지만 이번 공동성명에 이 내용이 담겨 있다는 것을 자신이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증하고 증명하는 절차 없이 비핵화를 완전하게 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이 미사일 엔진 실험 시설 등을 폐기하면 이를 검증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미국이 항상 강력하게 선호해 온 것은 전문가들이 이런 일이 생길 때 현장에 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최종 문서(공동성명)에는 모든 내용들이 담기지 않았지만 다른 많은 곳에서 상호 이해에 도달했으며, 이를 문서에 압축해 담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북 정상이 단계적 비핵화에 합의했다는 북한 언론 보도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북한인들에게 어떻게 전달됐는지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며, 북한은 미국이 많은 것을 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심도 있는(in-depth) 검증이 이뤄질 것이라는 점 역시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konas)
코나스 최경선 기자
- 관련기사보기
-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