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뉴스 글씨확대글씨축소스크랩

폼페이오, “대화에 진전 없으면 미-한 연합 군사훈련 재개”

“트럼프 첫 임기 끝나기 전 중대한 비핵화 달성 기대”

Written by. 최경선   입력 : 2018-06-14 오전 9:57:57
공유:
twitter facebook
소셜댓글 : 0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북한 비핵화 관련)트럼프 대통령이 생산적이고 선의의 협상이 진행되면 훈련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명확히 했으며, 그렇지 않다고 결론이 나는 상황이 온다면 연합 훈련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약속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말했다.

 13일 한국을 방문한 폼페이오 장관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한 연합 군사훈련 중단 결정 과정을 묻는 질문에 이 논의에 자신도 참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가 끝나기 전에 북한의 중대한 비핵화(major disarmament) 성과를 달성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은 이를 실시할 준비가 된 큰 규모의 관련 부서들이 있고 수개월 동안 작업을 해왔으며, 미국인들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온 파트너들도 포함돼 있다며, 미국은 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소에 직접 갈 수 있는 상황이 되면 이를 실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이)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결과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라고 했으면서 왜 미-북 공동성명에 담기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이 내용은 성명에 담겨 있다며 질문이 틀렸다고 답했다.

 ‘완전한’이라는 표현에는 ‘검증 가능한’과 ‘되돌릴 수 없는’이라는 뜻이 포함돼 있다며, 의미론적인 논쟁을 할 수 있지만 이번 공동성명에 이 내용이 담겨 있다는 것을 자신이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증하고 증명하는 절차 없이 비핵화를 완전하게 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이 미사일 엔진 실험 시설 등을 폐기하면 이를 검증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미국이 항상 강력하게 선호해 온 것은 전문가들이 이런 일이 생길 때 현장에 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최종 문서(공동성명)에는 모든 내용들이 담기지 않았지만 다른 많은 곳에서 상호 이해에 도달했으며, 이를 문서에 압축해 담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북 정상이 단계적 비핵화에 합의했다는 북한 언론 보도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북한인들에게 어떻게 전달됐는지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며, 북한은 미국이 많은 것을 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심도 있는(in-depth) 검증이 이뤄질 것이라는 점 역시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konas)

코나스 최경선 기자

안보가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
관련기사보기
facebook twitter 책갈피저장 메일보내기
소셜댓글
로그인선택하기 트위터 페이스복
원하는 계정으로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여 주십시요.
입력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
1
로그인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