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기술품질원 ‘사람중심 인권경영’ 추진
고용형태에 따른 직원간 차별문제 개선 토론회 개최
국방기술품질원(이하 기품원)은 13일 오전 진주 본원 국제회의실에서 이창희 원장 주재로 직종별, 신분별 대표직원, 여성협의회, 주니어보드, 팀장급 이상 보직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도개선 대토론회를 열었다.
기관내 직종별, 신분별 차별적 요소를 시정하기 위해 열린 이날 대토론회는 ‘사람이 먼저’, ‘동일노동 동일임금’, ‘직원 복지향상’ 이라는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직원들 사이의 차별적 요소를 식별하고 불합리한 규정을 바로잡기 위해 마련됐다.
기품원은 현재 직무와 고용형태에 따라 직원들을 17개 직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각 직종별, 신분별로 급여와 호봉부여, 성과평가 등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어, 고용형태에 따른 직원간의 차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날 열린 대토론회에서 직종별, 신분별 대표자들은 호봉 및 승급제도, 교육훈련 대상자 선발, 학위·자격증 호봉 인정, 기능수당 지급, 사택입주자 선정, 직위자 자격요건, 급여·여비지급 등 12개항의 차별적 요소에 대해 개선방안 마련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특히 연구직·관리직 직원들에 비해 차별적 요소를 많이 겪고 있는 기술직·사무직의 처우 개선이 주요 의견으로 제시됐다.
연구·관리직은 최고 호봉이 45호봉인데 반해 기술․사무직은 40호봉으로 급여와 승급심사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교육훈련 기회에서도 배제되고, 석·박사 학위에 대한 가산호봉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또 사택입주 우선순위, 여비지급에서 상대적으로 차별이 존재하고 있고, 연구·관리직만 부서장 보직을 맡을 수 있어 보직자가 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등 전형적인 폐쇄형 조직의 문제점도 지적됐다.
이창희 기품원장은 “같은 업무를 하면서 고용형태 및 직종 등이 다르다는 이유로 처우가 달라서는 안된다”며, “전 직원들의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강력한 실천의지가 뒷받침될 때 오늘 제시된 의견들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 확보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기품원은 이날 개진된 의견들을 제도적으로 정밀하게 정비해 8월중 원규 개정을 위한 경영위원회를 개최하고, 9월부터 차별 없는 ‘사람중심의 인권경영’을 강력히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konas)
코나스 최경선 기자
- 관련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