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뉴스 글씨확대글씨축소스크랩

아시아 핵안보 국제워크숍 23∼24일 개최

핵안보 관계자 30여명과 IAEA·미국·호주 관계자 화상+대면 참석

Written by. 최경선   입력 : 2021-03-24 오후 4:04:24
공유:
twitter facebook
소셜댓글 : 0

 외교부는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과 함께 23∼24일 양일 간 “아시아 핵안보 국제워크숍”을 하이브리드 방식(화상+대면)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워크숍에는 일본, 중국, 태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등 핵안보 관계자 30여명과 IAEA 및 미국, 호주 관계자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핵/방사능 테러 방지라는 핵안보의 기본 목표 하에,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직면하고 있는 핵안보 차원의 우려와 주요 관심 사안, 우선순위 등을 검토하고 역내 핵안보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과 모범관행을 논의했다.

 ▲ 외교부는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과 함께 23∼24일 양일 간 “아시아 핵안보 국제워크숍”을 하이브리드 방식(화상+대면)으로 개최했다.(외교부 사진 제공)ⓒkonas.net


 특히 이번 워크숍은 내년 개최 예정인 “개정 핵물질방호협약(A/CPPNM) 최초 평가회의”를 앞두고 협약에 대한 아시아 국가들의 이해를 증진하고자 국제원자력기구(IAEA), 미 에너지부/핵안보청 및 국무부와 협의를 통해 기획되었다.

 우리측은 지난해 9월 한미 핵안보실무그룹 회의 시 동 워크숍 개최 계획을 공유하고 미측의 참여를 제안하였으며 이후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사전 설문조사부터 워크숍 프로그램 구성에 이르기까지 한미 양국이 긴밀히 협력했다.

 박일 원자력비확산외교기획관은 환영사를 통해, 국제핵안보체제 강화를 위해 2018년 이후 우리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따른 ASEAN 핵안보 역량강화 지원 노력을 소개하고, 앞으로도 우리 정부가 IAEA와의 긴밀한 협의 하에 이러한 지역 협력 촉진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엘레나 부글로바(Ms. Elena Buglova) IAEA 핵안보 국장 또한 축사를 통해 핵안보의 법적 기반인 A/CPPNM의 보편화와 협약의 충실한 이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우리 정부가 아시아 지역 차원의 시의적절한 워크숍을 주최한 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로버트 플로이드(Dr. Robert Floyd) 호주 핵비확산청장은 A/CPPNM 평가회의 준비위원회 의장 자격으로 참석하여 평가회의 준비 현황을 공유하고, 이번 워크숍이 평가회의 논의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핵안보 이슈를 공유하기 위한 지역차원의 적절한 접근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번 워크숍은 아시아 지역의 핵안보 우선순위와 대응노력, 핵안보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아시아 지역 이슈 패널토론(운송보안 및 핵감식) 세션으로 구성되어, 국내 전문가 및 IAEA, 미 핵안보청 주요 연사들의 주제발표와 질의응답, 아시아 국가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이 진행되었다.

 특히 아시아 국가 중 원전을 보유한 국가는 원전시설의 사이버테러와 사보타주를, 미보유 국가는 방사능 물질을 이용한 테러를 가장 우려하였으며, 공통적으로 핵/방사능 물질의 탈취 및 불법거래, 핵/방사능 물질의 운송 보안에 대한 높은 우려와 관심을 보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와 지역차원의 노력을 공유하고, IAEA의 국제핵안보 체제 강화 노력, 미국과 우리나라의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핵안보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이번 아시아 핵안보 워크숍에서 도출된 결론은 내년 A/CPPNM 평가회의에서 아시아 지역 차원의 핵안보 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된다.(konas)

코나스 최경선 기자

안보가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
관련기사보기
facebook twitter 책갈피저장 메일보내기
소셜댓글
로그인선택하기 트위터 페이스복
원하는 계정으로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여 주십시요.
입력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
1
로그인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