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귀환납북자 사회적응지원 개선 위한 의견수렴
귀환납북자 사회적응지원 사회복지사 정책간담회 첫 개최
통일부는 24일, 귀환납북자에 대한 사회적응지원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장에서 일하시는 담당 사회복지사를 초청하여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2021년부터 귀환납북자 사회적응지원 사업을 실시한 이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것으로 정책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듣고 우리 국민들의 민생 현장을 촘촘하게 챙기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통일부는 귀환납북자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사회적응지원 사업을 진행하면서, 매년 1인당 평균 250만원 상당의 서비스를 지원해 왔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복지기관을 통한 가정 방문 및 맞춤형 상담, 일상생활 지원, 의료비 지원, 주거환경 개선 등을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사회복지사들은 귀환납북자 사회적응지원 서비스의 개선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특히, 귀환납북자들이 납북, 억류 및 귀환 등의 사건을 경험하며 받은 심리적 충격과 고령인 연세를 감안하여, 위기 상황에 대비한 점검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 관련하여, 위기징후 정보를 통일부와 수시로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긴밀한 소통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귀환납북자들의 안정감 있는 사회적응을 위해, 이러한 사업이 시기와 상황에 따라 변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관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사회복지사들은 귀환납북자들이 “정부가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는 것”에 대해 감사함을 느끼고, 관련 서비스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사실을 공유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는 귀환납북자담당 사회복지사들에게 헌신적인 서비스 지원과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전달했다.
통일부는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건강 △인지기능 △신체활동수준 △재정상태 △가족관계 △사회소통 등의 영역에서 위기 징후 등을 효과적으로 사전 포착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유관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일반복지 서비스와 빠짐없이 연계하여 귀환납북자들의 안정적 노후생활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갈것이라고 다짐했다. (konas)
코나스 박현미 기자
- 관련기사보기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