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민주평통, “전술핵 재배치” 건의
"전술핵 재배치·美 첨간 전략자산은 中의 대북제재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 가능"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한반도에 전술핵 재배치의 모색을 건의했다.
민주평통은 13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2016년 2차 통일정책 추진에 관한 정책건의' 보고서를 통해 "북한뿐 아니라 중국의 대북제재에 대한 압박으로 한국 내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 미국의 첨단 전략 자산 상주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구소련의 SS 핵전략 미사일에 대해 미국이 유럽에 (중거리 핵미사일인) '퍼싱Ⅱ' 미사일을 배치해 미·소간 전략 무기경쟁에서 구소련이 수세에 몰리고 붕괴의 한 요인이 됐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내용은 민주평통의 2016년 2분기 정책건의 보고서에 실린 내용으로, 지난 9월 하순 청와대에 보고됐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민주평통은 대통령이 의장인 헌법기구로 분기별 정책건의 보고서는 전문가 위주로 구성된 분과위원회별 심의를 거쳐 작성된다.
보고서는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까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러한 장기화에 대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차원의 대북제재 모니터링 외에 국내적 차원에서도 전문가 그룹을 구성,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이어 "북한의 도발이 지속한다면 민간교역 제재, 북한 노동자 해외송출 금지, 개인과 기관에 대한 제재 확대 등 보다 강화된 추가적 제재가 필요하다"며 "한·미, 한·중, 한·중·일, 한·미·일, 5자회담 등 다양한 양자·다자협의를 통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이행과 강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북한 당국의 변화를 위해 대북제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북한 주민들의 자생적 변화 동력 창출은 대북 인권정책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며 "북한 주민들의 정보 접근권과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대북 방송과 정보기술들을 활용하고 북한 청취자에 특화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인도적 지원은 북한 당국과 북한 주민을 분리해 접근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이라며 “대북제재의 효과를 감쇄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지원의 수준과 원칙·절차를 국제적인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가칭)'인도적지원심의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인도적 지원 품목·대상·지역 등을 결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konas)
코나스 최경선 기자
- 관련기사보기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