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드기지 협상 결렬, 필요 조치 강구"
반대단체 “국군 장병 생활시설 공사는 용인, 주한미군 관련 공사는 안돼”
경북 성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의 생활시설 공사를 위한 장비 반입 문제를 두고 반대단체가 '협상 결렬'을 선언하자 국방부가 필요한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사드 반대 6개 단체로 구성된 사드철회 평화회의는 18일 밤 대표회의를 열어 협상 결렬을 결정했다.
단체는 19일 입장문에서 "사드부지 공사와 관련해 인원·장비 출입을 놓고 대화를 했으나 국방부가 주한미군 식당과 숙소공사 등을 진행하겠다고 고집해 협상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이에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사드체계 배치와 관련해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민주적 절차를 준수하고 투명성을 유지하고자 했지만 더는 대화를 통해 원만하게 해결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되고 있어서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12일 국방부는 사드 기지에 주둔 중인 한미 장병 약 400명의 열악한 생활시설과 안전·환경 개선 공사를 위한 장비 반입을 시도했으나 사드 반대단체와 일부 주민의 저지로 무산됐다.
이후 사드철회 평화회의 2명과 국방부 2명은 지난 16일 하루 내내, 1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대화를 했다.
평화회의 측은 사드 기지 내 한국군 장병 숙소 누수공사와 오폐수시설을 할 수 있다고 용인했으나 국방부는 미군 식당·숙소 공사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화회의는 지금까지 주한미군과 관련된 유류·식자재 이송과 공사를 반대해왔다. 소규모환경영향평가를 근거로 사드가 임시배치된 만큼 일반환경영향평가 이후 추진하라는 것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주한미군 식당은 한국군 장병이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하는 공사가 아니다"며 "장병 생활환경 개선공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 대변인은 장비 반입을 강행할 시점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 없다"면서도 "(반대 측의) 대화 요구가 있다면 다시 또 대화할 것"이라며 대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국방부가 경찰력을 지원받아 공사 장비·자재를 다시 시도할 경우 주민과 충돌이 우려되고 있다.(konas)
코나스 최경선 기자
- 관련기사보기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