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들, "한미정상회담 대북제재 온도차로 난항 겪을수도"
미국의 전문가들은 오는 11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개최될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남북관계 개선과 대북 제재에 대한 두 나라 사이의 간극이 여전해 조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소리(VOA)방송에 따르면 로버트 갈루치 전 국무부 북 핵 특사는 29일(현지시간)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하노이 회담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했음에도,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제재 완화에 동의해 주기 바랄 것”이라고 말했다.
갈루치 전 특사는 “문 대통령이 미국과 북한을 잇는 ‘브로커’ 역할에 성공하기 위해 적극적이었지만 미북 대화는 관계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북한이 미국, 한국과 각각 갖는 대조적인 관계는 더욱 극명해졌다”며 “이런 차이는 한미동맹을 점점 더 압박하게 됐다”고 말했다.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를 지낸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는 워싱턴을 방문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과의 협상을 포기하지 말 것을 당부할 것으로 전망했다.
힐 전 차관보는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진전을 이루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면서 제재 이행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갈루치 전 특사도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이 제재 문제로 불만족스럽게 회담장을 나올 수 있다고 관측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이 처한 상황에 대해 일절 공감하지 않고, 한국 내에서 문 대통령에게 가해지는 남북관계 개선 압박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을 경우 이번 정상회담은 매우 험난하고 불만족스러운 자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스티븐 노퍼 코리아 소사이어티 부회장은 “북한이 신고와 검증의 진전과 관련해 뭔가 거래를 할 경우 일부 제재를 완화할 여지가 있을 수 있다”고 예측하면서 “두 나라는 동맹으로서 어떤 제재를 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공통분모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미국은 남북관계 개선 명목의 제재 완화에 대해서는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한 한국의 조언을 청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형 제재들은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확고한 지지를 얻고 있는 만큼, 제재 완화는 제한된 부문에 국한될 것이라며 비핵화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대규모 제재 완화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konas)
코나스 이숙경 기자
- 관련기사보기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