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뉴스 글씨확대글씨축소스크랩

봉오동 전투 승리...6월의 독립운동가 임병극 선생 선정

청산리 전투에도 참여, 독립전쟁의 최일선에서 활동

Written by. 이숙경   입력 : 2020-05-29 오전 10:18:46
공유:
twitter facebook
소셜댓글 : 0

 국가보훈처는 임병극(1885~미상) 선생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1885년 평안도에서 출생한 선생은 1917년 고향을 떠나 북간도로 망명해 대한국민회 일원으로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대한국민회가 만든 항일무장활동 기관인 국민회군의 제2중대장에 임명되어 독립전쟁의 최일선에서 활동했다.

 국민회군과 함께 북간도에 근거지를 구축하고 항일무장활동을 펼치던 독립군단들은 효과적인 항일전을 위해 1920년 5월 22일 북간도 독립군 연합체인 대한북로독군부를 탄생시켰다.

 북간도의 여러 독립군단 소속의 독립군 유격대는 수시로 국내진입전쟁을 전개해 일제 침략자들을 응징했다.

 1920년 6월 4일 독립군 유격대는 국내로 진입해 일본군 헌병 순찰대를 격파하는 큰 전공을 세운 후 6월 6일 대한북로독군부 주력부대가 주둔해 있는 왕청현 봉오동으로 향했다. 

 1920년 6월 7일 홍범도 사령관의 공격 신호탄에 따라 일제히 일본군을 공격했으며 대한북로독군부 피복과장이면서 국민회군의 2중대장이었던 임병극 선생도 부하 독립군을 독려해 적극적인 공격을 실시해 봉오동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 1920년 6월 22일 독립신문에 실린 봉오동 전투 승전기사[국가보훈처 제공] ⓒkonas.net

 

 선생은 1920년 10월 청산리 전투에도 참여해 전승을 거두었으며, 이후 1921년 안도현에서 의용대를 조직하여 군자금을 모집하고 일제의 기관을 기습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1923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국민대표회의에 연해주 민족운동계 및 고려혁명군 대표자격으로 참가했다.

 북간도에서 의열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1924년 2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적기단 북로군정서의 인사들과 회합을 가졌다. 이후 선생에 대한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자 돈화와 연길을 왕래하며 지하활동을 이어갔다.

 1924년 9월 연길현 숭례향 대명월구에서 부하 5명과 함께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선고받았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konas)

코나스 이숙경 기자

안보가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
관련기사보기
facebook twitter 책갈피저장 메일보내기
소셜댓글
로그인선택하기 트위터 페이스복
원하는 계정으로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여 주십시요.
입력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
1
로그인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