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권단체들, 美 정부의 '北 김정은 인권 제재 대상자' 지정에 환영
유엔워치, 휴먼라이츠워치, 북한인권위원회 등 성명 발표...인권 침해 가담자들에 '분명한 메시지', '고발 상징성'
미국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북한 김정은을 인권 제재 대상자로 지정한 조치와 관련, 국제 인권단체들이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7일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스위스 제네바에 기반을 둔 인권단체 유엔워치(UN Watch)의 힐렐 노이어 대표는 이날 성명을 통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등 북한의 인권 유린 가담자와 기관에 대한 대북 제재를 환영하며 스위스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북한 정권의 자산을 동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노이어 대표는 “국제사회는 북한 주민의 고통에 대해 진정으로 걱정한다는 것을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며 “미국의 새로운 제재 조치에 따라 이제 세계 모든 나라들이 세계 최악의 잔혹하고 비인도적인 정권의 피해자인 북한 주민의 인권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유엔워치는 2014년 9월 강철환, 안명철, 정광일, 김영순 씨 등 한국 내 탈북자 20명과 함께 스위스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스위스 내 은행의 북한 정권 계좌 동결을 촉구한 바 있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담당 부국장은 “미국의 이번 조치는 북한 중간급 관리들이 인권 침해에 가담하면 그들에게 매우 불리한 결과가 올 것이라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하는 데 있어 국제사회의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를 지낸 로베르타 코헨 북한인권위원회(HRNK) 명예공동의장은 "북한의 인권 유린이 반인도적 범죄 행위에 해당한다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발간된 지 2년이 넘었다"며 책임자 처벌에 국제사회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워싱턴의 정책연구소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보츠와나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보고서 발간 후 북한과 외교 관계를 단절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다른 국가들도 북한 주민에게 인권 탄압을 감행한 자들을 밝혀낸 미국의 조치와 유사한 인권 압박을 가해 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해군분석센터 켄 고스 연구국장은 “미국 국무부와 재무부가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에 가담한 중간급 간부들의 이름과 생년월일까지 상세히 밝혀낸 것은 북한의 잘못된 행동을 세계에 고발하는 상징성을 갖는다”면서도 “서방 국가들도 인권 관련 대북 제재에 따라 나설 수 있지만 초강력 대북제재의 부작용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북한의 인권 유린 행위를 묵과할 수 없다는 의지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일부 서방 국가들이 미국에 이은 대북 인권 제재를 시작할 수 있다”며 “그러나 제재 이행에 중요한 중국 등의 국가는 북한과의 관계를 고려해 인권 제재에 가담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Konas)
코나스 강치구 기자
- 관련기사보기



- 입력 된 100자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