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아베 총리 호감도 김정은보다 낮아”
아산정책연구원, 한국인 대일 호감도 조사
한국인의 일본과 아베 총리에 대한 호감도(0= 전혀 호감이 없다, 10= 매우 호감이 있다)가 각각 2.30점과 1.10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정책연구원은 지난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 국민의 일본 호감도는 미국(5.45점), 중국(3.63점), 북한(3.44점)보다 낮았고, 아베 총리 호감도는 트럼프 대통령(3.95점), 시진핑 주석(3.01점), 김정은 위원장(2.40점)보다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부의 한일갈등 대응에 대해선 56.1%가 잘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한 반면,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37.2%였다. 다만, 이 조사가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선언 전에 이뤄졌기 때문에 이후 한국인의 평가가 다소 달라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20% 가량 앞섰다는 점은 유의할만하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정부의 한일갈등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561명)는 대일(對日) 경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기회라는 점(36.5%), 일본에 단호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점(30.1%)을 주요한 이유로 꼽았다. ‘외교적 해법도 충분히 모색하고 있어서’(15.5%), ‘국내 여론 및 국민 정서에 부합해서’(11.1%) 등도 정부의 대응을 지지한 이유였다.
반면 정부의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372 명)는 ‘외교적 대안을 충분히 찾지 않아서’(33.9%),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 같아서’(27.7%), ‘한국도 갈등에 대한 책임이 있어서’(13.7%), ‘한미일 안보 공조를 어렵게 할 것 같아서’(10.5%) 등이 있었다.
정부의 한일갈등 대응에 대한 평가는 문재인 대통령 호감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문 대통령 호감도가 높을수록 정부의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호감도가 낮을수록 정부의 대응을 부정적으로 봤다.
문 대통령 호감도로 구분한 집단(0~4점=비호감, 5점=중립, 6~10점=호감)별 정부의 한일갈등 대응에 대한 평가는 긍정 의견이 비호감층 19.3%, 중립층 54.2%, 호감층 89.8%였다. 부정적 평가는 반대로 비호감층에서 80.7%로 가장 높았다(중립층 45.8%, 호감층 10.2%).
정부의 한일갈등 대응에 대한 평가는 이념성향에 따라서도 엇갈렸다. 진보는 79.2%가 정부의 한일갈등 대응에 힘을 싣고 있었고, 보수는 62.2%가 정부의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중도: 긍정 57.8%, 부정 34.1%). 이는 진보층을 중심으로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경향을 보인 것과 무관하지 않았다.
실제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지지를 보낸 응답자는 진보, 중도에서 각각 92.0%, 85.3%로 다수를 차지했다. 전반적으로 불매 운동에 대한 지지(79.5%)가 높았지만 보수(66.4%)에 비해 진보와 중도의 지지가 훨씬 더 높았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국민 절반 이상은 정부의 한일갈등 대응에는 긍정적이었지만 지소미아 등과 같은 한일 안보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한일 안보협력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521명)는 35.4%가 ‘안보는 한일 경제갈등과 별개로 다뤄야 한다’, 31.0%는 ‘한미일 안보공조에 있어 중요하다'는 점을 그 이유로 꼽았다.
반대로 28.5%(285명)는 한일 안보협력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고, 의견 표명을 유보(‘모름/무응답’)한 비율이 19.4%(194명)로 나타났다.
과거사와 별개로 한일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 응답자(593명)는 ‘양국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어서’(39.8%), ‘한미일 안보공조가 중요하므로’(28.9%), ‘일본은 우리나라와 가치를 공유하는 협력상대이므로’(16.1%), ‘과거사 문제는 해결이 어려울 것 같아서’(10.3%)를 이유로 들었다.
반대로 위의 주장에 공감하지 않은 응답자(351명)는 다수가 ‘양국 관계에서 과거사는 피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54.7%)를 이유로 들었다. 다른 이유로는 ‘일본은 가치를 공유하는 협력 상대가 아니므로’(18.2%), ‘일본은 안보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12.1%) 등이 있었다.
한일협력에 대한 한국인의 의견은 정파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념성향과 관계없이 안보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보다 더 많았다. 하지만, 진보는 한일간 안보협력이 필요하다 또는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각각 42.8%, 40.3%로 비슷했다. 이는 중도와 보수가 안보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각 53.4%, 63.2%로 반대 의견(중도 24.7%, 보수 22.3%)보다 훨씬 많았다는 점과는 차이가 있었다.
과거사와 별개로 한일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견에서도 정파간 차이가 드러났다. 이념성향과 관계없이 ‘투 트랙’ 한일협력을 지지한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진보는 찬반이 각각 50.0%, 46.9%로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중도나 보수에서 의견 격차가 20% 포인트 이상이었던 점과는 대조적이었다.
연구원은 이번 조사결과의 정책적 함의로 먼저, 역사 문제에서 비롯된 한일갈등과 관계없이 다수의 한국인은 한일협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므로, 정부는 이러한 국민 여론을 반영해 국익의 관점에서 양국간 경제·안보협력을 재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한국인의 한일 정상에 대한 호감도가 한일관계 인식과 관련이 있다는 조사 결과는 갈등의 분수령에서 한일 정상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되므로, 한일 정상은 9월 유엔 총회, 10월 일왕 즉위식,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 11월 APEC 정상회의 등에서 악화된 한일관계를 반전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여론기관 리서치앤리서치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유선·휴대전화 RDD 전화인터뷰(CATI)로 조사했으며, 표집오차 95% 신뢰구간에서 ±3.1% 포인트를 보였다.(konas)
코나스 최경선 기자
- 관련기사보기


